본문 바로가기
일상

티스토리 사이트맵 제출과 robots.txt 설정법 (검색 노출 최적화의 완성)

by webomnal 2025. 4. 14.

티스토리 블로그를 네이버와 구글에 등록하고 메타태그까지 설정했다면, 이제는 사이트맵 제출과 robots.txt 점검까지 마무리해볼 차례입니다.
이 두 가지는 검색 엔진에게 블로그 구조를 명확히 알려주고, 수집을 효율적으로 돕는 핵심 작업입니다.

특히 구글 서치콘솔에 사이트맵을 등록하는 것은 새 글이 빠르게 색인되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1. 사이트맵이란?

사이트맵(sitemap)은 블로그에 있는 페이지들의 목록을 모아 놓은 XML 파일입니다.
검색엔진이 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어떤 글들이 있는지 빠르게 파악하고 수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는 자동으로 사이트맵을 생성해줍니다.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arduino
복사편집
https://블로그주소.tistory.com/sitemap.xml

예: https://example.tistory.com/sitemap.xml


✅ 2. 구글 서치콘솔에 사이트맵 제출하기

  1. 구글 서치콘솔 접속
    👉 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
  2. 왼쪽 메뉴에서 ‘사이트맵’ 클릭
  3. 사이트맵 URL 입력란에 다음을 입력:
pgsql
복사편집
sitemap.xml
  1. ‘제출’ 버튼 클릭

정상적으로 제출되면 구글이 사이트맵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새 글을 수집합니다.

: 글을 발행한 직후 ‘URL 검사’ > ‘색인 요청’과 함께 사이트맵을 제출하면 노출 속도가 훨씬 빨라집니다.


✅ 3. robots.txt란?

robots.txt는 검색엔진 로봇(크롤러)에게 어떤 페이지를 수집해도 되는지, 하지 말아야 할지 지시하는 파일입니다.
잘못 설정된 경우, 블로그가 검색에서 완전히 차단될 수도 있으니 꼭 확인해야 합니다.

티스토리의 기본 robots.txt 확인 주소:

arduino
복사편집
https://블로그주소.tistory.com/robots.txt

예: https://example.tistory.com/robots.txt

기본 설정은 아래처럼 되어 있습니다:

makefile
복사편집
User-agent: * Disallow: /owner Sitemap: https://블로그주소.tistory.com/sitemap.xml
  • User-agent: * : 모든 검색엔진 허용
  • Disallow: /owner : 관리자 페이지 차단
  • Sitemap: : 사이트맵 위치 지정

이 설정은 정상이며 변경하지 않아도 됩니다.


✅ 4. robots.txt 확인 체크포인트

  • Disallow: / 로 설정되어 있다면 전체 수집 차단이므로 반드시 수정이 필요합니다.
  • 티스토리는 robots.txt를 직접 수정할 수 없지만, 이상이 있는 경우 고객센터를 통해 문의가 가능합니다.

✅ 5.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서 robots.txt 확인

👉 https://searchadvisor.naver.com

  1. 등록한 사이트 클릭
  2. ‘요약’ 탭에서 robots.txt 상태 확인 가능
  3. 만약 차단 상태가 감지된다면, 검색이 되지 않으니 점검 필수입니다.

마무리하며

검색엔진 최적화를 완성하려면 메타태그 설정, 검색엔진 등록, 사이트맵 제출, robots.txt 점검까지 반드시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특히 티스토리는 사이트맵과 robots.txt를 자동 제공하므로, 정상적으로 설정되었는지만 확인하고, 구글 서치콘솔에 제출하는 것만으로도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이제 모든 준비가 끝났습니다. 이렇게 따라오셨다면 앞으로는 글을 쓰자마자 빠르게 검색 반영이 될 것인데요. 앞으로 꾸준하게 운영을 하고 새로운 포스팅 작성이 중요하겠습니다.